전압 이득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력/입력 비율 측면에서 증폭기의 증폭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합니다. 증폭기의 출력/입력 크기 비율에 대한 기술 용어는 이득 입니다 . 동일한 단위(출력 전력/입력 전력, 출력 전압/입력 전압, 출력 전류/입력 전류)의 비율로서 이득은 자연스럽게 단위가 없는 측정입니다.
수학적으로 이득은 대문자 "A"로 표시됩니다.
전압 이득을 계산하는 방법
예를 들어, 증폭기가 2볼트 RMS의 AC 전압 신호를 받아서 30볼트 RMS의 AC 전압을 출력하면 AC 전압 이득은 30을 2로 나눈 값인 15가 됩니다.
그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과 입력 신호의 크기를 알고 있다면 출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C 전류 이득이 3.5인 증폭기에 28 mA RMS의 AC 입력 신호가 주어지면 출력은 3.5 x 28 mA 또는 98 mA가 됩니다.
마지막 두 예에서 저는 "AC" 측면에서 이득과 신호 크기를 구체적으로 식별했습니다. 이는 의도적인 것이었고 중요한 개념을 보여줍니다. 전자 증폭기는 종종 AC 및 DC 입력 신호에 다르게 반응하고 서로 다른 정도로 증폭할 수 있습니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증폭기는 종종 입력 신호 크기(AC)의 변화 나 변동을 정상 입력 신호 크기(DC) 와 다른 비율로 증폭한다는 것입니다 .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지금 설명하기에는 너무 복잡하지만, 사실은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이득 계산을 수행하려면 먼저 AC인지 DC인지 어떤 유형의 신호와 이득을 처리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전기 증폭기 이득: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
전기 증폭기 이득은 AC와 DC 모두에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 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
이득 정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각형 모양의 "델타" 기호(Δ)는 수학적으로 변화를 나타내므로 "ΔV 출력 / ΔV 입력 "은 "출력 전압 변화를 입력 전압 변화로 나눈 값" 또는 더 간단히 "AC 출력 전압을 AC 입력 전압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여러 증폭기가 단계적으로 배치되면 각각의 이득은 개별 이득의 곱(곱셈)과 같은 전체 이득을 형성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3 증폭기의 이득 입력에 1V 신호가 적용되면 첫 번째 증폭기의 3V 신호는 두 번째 단계에서 이득 5로 더욱 증폭되어 최종 출력에서 15V가 생성됩니다.
계단형 증폭기 체인의 이득은 개별 이득의 곱입니다.